[##_revenue_list_upper##]

swift

· SwiftUI
아직 UIKit을 완벽하게 다루는 건 아니지만 SwiftUI 로의 테크 트렌드가 옮겨가는 만큼 시간이 있을 때 조금이라도 SwiftUI에 대해서 알아두려고 한다. 애플 공식사이트의 예제를 보고 작성한다. 프로젝트 생성 위와 같이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디렉토리에는 아래와 같이 파일이 생성된다. LandMarksApp.swift import SwiftUI @main struct LandMarksApp: App { var body: some Scene { WindowGroup { ContentView() } } } 얼핏 봐도 앱의 시작포인트 같다. An app that uses the SwiftUI app life cycle has a structure that conforms to the App protoco..
· Swift
백준 10813번을 풀면서 ClosedRange에 대해서 알게 되었다. [알고리즘]백준 10813번 : 공 바꾸기 문제 도현이는 바구니를 총 N개 가지고 있고, 각각의 바구니에는 1번부터 N번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다. 바구니에는 공이 1개씩 들어있고, 처음에는 바구니에 적혀있는 번호와 같은 번호가 적힌 hyeon-dev.tistory.com ClosedRange는 말 그대로 닫혀진 범위라는 뜻이다. 아래를 살펴보자 - 하위 바운드 부터 상위 바운드의 경계 다음과 같이 선언하고 사용한다. let throughFive = 0...5 throughFive.contains(3) // true throughFive.contains(10) // false throughFive.contains(5) // true C..
· Algorithm
문제 도현이는 바구니를 총 N개 가지고 있고, 각각의 바구니에는 1번부터 N번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다. 바구니에는 공이 1개씩 들어있고, 처음에는 바구니에 적혀있는 번호와 같은 번호가 적힌 공이 들어있다. 도현이는 앞으로 M번 공을 바꾸려고 한다. 도현이는 공을 바꿀 바구니 2개를 선택하고, 두 바구니에 들어있는 공을 서로 교환한다. 공을 어떻게 바꿀지가 주어졌을 때, M번 공을 바꾼 이후에 각 바구니에 어떤 공이 들어있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 (1 ≤ N ≤ 100)과 M (1 ≤ M ≤ 1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M개의 줄에 걸쳐서 공을 교환할 방법이 주어진다. 각 방법은 두 정수 i j로 이루어져 있으며, i번 바구니와 j번 바구니에 들어있는 공을 교환한다는 뜻..
· Algorithm
문제 9개의 서로 다른 자연수가 주어질 때, 이들 중 최댓값을 찾고 그 최댓값이 몇 번째 수인지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9개의 자연수 3, 29, 38, 12, 57, 74, 40, 85, 61 이 주어지면, 이들 중 최댓값은 85이고, 이 값은 8번째 수이다. 입력 첫째 줄부터 아홉 번째 줄까지 한 줄에 하나의 자연수가 주어진다. 주어지는 자연수는 100 보다 작다. 출력 첫째 줄에 최댓값을 출력하고, 둘째 줄에 최댓값이 몇 번째 수인지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3 29 38 12 57 74 40 85 61 예제 출력 1 85 8 풀이 import Foundation var array = [Int]() for _ in 0...8 { let input = Int(read..
[##_revenue_list_lower##]